Dev/Spring(5)
-
[Java] 지네릭스(Generics) 정리
📌 지네릭스(Generics)란? 컴파일시 타입을 체크해주는 기능으로 JDK 1.5버전부터 사용이 가능하다.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 지네릭스 도입 이전 ArrayList list = new ArrayList();//지네릭스 도입 이후 Runtime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에러를 Compile time 에러로 끌어오기 때문에 굉장히 유용하다. 📌 지네릭스 용어 Box 지네릭 클래스, 'T의 Box' 또는 'T Box'라고 읽는다. T 타입 변수 또는 타입 매개변수. (T는 타입 문자) Box 원시 타입(raw type) 📌 지네릭스 장점 1. 객체의 타입 안정성을 높인다 -> Class Cast Exception을 막을 수 있다. 2. 코드가 굉장히 간결해진다. 📌 제..
2022.04.07 -
[Spring] @Transactional 정리
📌 @Transactional 이란 스프링에서 지원하는 트랜젝션 처리 방식이다. @Transactional을 메소드, 클래스, 인터페이스 위에 추가하면 트랜잭션 기능이 포함된 프록시 객체가 생성되어 자동으로 commit 혹은 rollback을 진행해준다. 📌 @Transactional의 속성 속성 설명 propagation Tx의 경계(boundary)를 설정하는 방법을 지정 isolation Tx의 isolation level을 지정. DEFAULT, READ_UNCOMMITED, READ_COMMITED,REPEATABLE_READ, SERIALIZABALE readOnly Tx이 데이터를 읽기만 하는 경우, true로 지정하면 성능이 향상 rollbackFor 지정된 예외가 발생하면, Tx을 rol..
2022.04.03 -
[Spring] Log4Jdbc Log4j2 설정 방법
개인 학습 기록용이기 때문에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 설정 방법 1. https://mvnrepository.com/ 에서 "bgee" 검색 > Log4Jdbc Log4j2 JDBC 선택 > 버전 맞게 복사 org.bgee.log4jdbc-log4j2 log4jdbc-log4j2-jdbc4.1 1.16 2. pom.xml에 추가 후 reload 3. log4jdbc.log4j2.properties 생성(src/main/resources) log4jdbc.spylogdelegator.name=net.sf.log4jdbc.log.slf4j.Slf4jSpyLogDelegator 4. logback.xml 생성(src/main/resources) 5. root-context.xml 변경..
2022.04.01 -
[Spring] Spring AOP
Spring AOP 개념이 정리가 안돼서 여기에 글을 쓰면 정리가 될까 싶어서 올린다 📌 AOP(Aspect Oriented Programming)란? 메서드의 시작 또는 끝에 자동으로 부가기능 코드(advice)를 동적(=실행 중에)으로 추가해 주는 기술이다. 📌 AOP 관련 용어 용어 설명 target advice가 추가될 객체 advice target에 동적으로 추가될 부가 기능(코드) join point advice가 추가(join)될 대상(메서드) pointcut join point들을 정의한 패턴 proxy target에 advice가 동적으로 추가되어 생성된 객체, advice(부가기능) + target(핵심기능) = proxy weaving target에 advice를 추가해서 proxy를..
2022.03.27 -
[IntelliJ] 이클립스 스프링 프로젝트 인텔리제이로 여는 방법
1. 인텔리제이에서 상단에 File > Opne > 실행하려는 이클립스 디렉토리를 선택 후 OK 2. Maven 선택 후 OK 3. 우측 상단에 Add Configuration 선택 4. Tomcat Server > Local 선택 5. 자신이 쓰는 톰캣 버전인지 확인하고 Deployment > Artifact 클릭 6. war or war exploded 중 선택 후 하단에 Application context 이름 정리 참고로 war는 압축파일로 배포, exploded는 압축해제한 디렉토리 형태로 배포한다는 차이가 있다.
2022.03.26